자체 인공지능 칩으로 자율주행

중국 전기차 브랜드 샤오펑이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칩을 탑재한 로보택시를 선보인다고 6일 밝혔다.
이와함께 휴머노이드로봇, 플라잉카 등 각종 자율주행 신제품을 내년에 쏟아내겠다고 덧붙였다.
샤오펑을 공동 창업한 허샤오펑 최고경영자는 전날 광저우시 본사에서 진행한 ‘AI 데이’ 기자회견을 열었다고 로이트 등이 보도했다.
현재 개발을 마무리 중인 로보택시 3종과 휴머노이드로봇 차세대 제품, 플라잉카 2종에는 자체 개발한 AI 칩 ‘튜링’을 활용한 피지컬 AI 2세대 ‘VLA’(시각-언어-행동)가 적용된다.
로보택시에는 튜링 4장이 탑재돼 연산 능력은 초당 최고 3000번 연산하는 세계 최고 수준 기술이라고 샤오펑은 설명했다. 또한 2세대 VLA 모델은 주로 시각에 기반해 학습하고 결정하기 때문에 이미지를 먼저 언어로 설명할 필요성이 줄어 효율성이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무인택시는 개선된 AI 모델 덕분에 좁은 도로 등 자율주행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운행할 수 있을 전망이다.
특히 샤오펑 측은 테슬라 운전자보조 시스템 ‘FSD’와 비교해 테슬라는 54분간 주행하면서 운전자가 7차례 개입해야 했지만 샤오펑은 49분 주행하며 1번만 개입했다고 강조했다.
샤오펑은 로보택시의 5인승과 6인승, 7인승 등 3가지 모델로 출시되며 가격은 20만위안(약 4000만원) 이하로 책정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샤오펑은 휴머노이드로봇 아이언 2세대 제품도 선보였는데 2020년 휴머노이드로봇 개발을 시작해 지난해 11월 테슬라 ‘옵티머스’의 대항마로 아이언을 공개했다.
샤오펑이 내년 연간 1000대 규모로 양산하겠다고 밝힌 아이언 2세대에는 AI칩 튜링이 3장 탑재되며, 내년 플라잉카 1만대를 생산하는 등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기존 플라잉카 A868의 후속 모델은 비행거리 500㎞ 이상, 시속 360㎞ 이상, 비행시간 2시간 이상 등의 성능을 갖출 전망이다.
눈카뉴스 박웅찬 기자 yyyyc@naver.com
[저작권자ⓒ 눈카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모터스포츠] 금호타이어, 드라이버-팀 더블타이틀](https://nooncar.kr/news/data/2025/11/04/p1065594223682551_871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