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이상의 관세 확정되면 최악

APEC 앞두고 자동차 관세 '15%' 명문화 가능할까 자동차 업계는 초미의 관심이다.
다음 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국내 자동차 업계의 운명이 갈린다.
국내 완성차 업계는 현재 25%의 고율 관세가 15% 선에서 공식 문서화될 지 중요한 갈림길에 선다.
현재는 자동차 관세를 15% 수준으로 잠정 합의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이 내려지지 않아 후속 조치가 지연되고 있다.
그간 국산 자동차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무관세 혜택을 받아왔다. 일본·유럽연합(EU)산 차량에는 2.5%의 기본 관세가 적용돼왔기 때문에 현대차 기아 등이 가격 경쟁력을 갖춰왔다.
하지만 상황은 달라졌다. 15%로 동일하게 관세를 받을 경우 일본·EU 대비 오히려 가격 경쟁력은 낮아진다. 여기에는 우리가 약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이라는 변수가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15%를 받아도 불리한 상황이지만 그 마저도 명문화가 되지 못하면 불안정성이 상존한다. 국내 전체 품목 수출은 곧바로 타격을 받고 있다. 특히 자동차 부문은 대미 수출에서 25% 감소했다. 자동차 부품은 31.4% 감소해 울상을 짓고 있다. 그나마 고환율의 유럽 수출로 방향을 틀어 수익을 맞추고 있다.
최악은 15% 이상에서 관세가 확정되는 경우다. 만일 20% 내외의 고관세가 확정된다면 국내 자동차 업계는 큰 타격을 입게 된다. 다음 주가 현대차 기아의 운명의 한 주가 되는 셈이다.
눈카뉴스 박웅찬 기자 yyyyc@naver.com
[저작권자ⓒ 눈카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