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인프라와 보조금 대대적 개편 필요
정부는 비현실적 탄소배출감소 목표 제시

국내 전기차 판매가 100만대 시대를 연다. 올해로 85만대 판매 등록을 넘기면서 내년엔 누적 100만대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월말 기준 국내 전기차 누적 등록대수는 86만9739대로 집계됐다고 국토교부는 밝혔다. 국내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는 2020년 3월 10만 대를 넘었고, 3년6개월 후인 2023년 9월 50만 대를 돌파했다.
이러한 추세라면 내년에는 전기차 등록대수가 100만 대를 돌파할 것으로 유력하다. 최근 5년간 연평균 30% 이상 성장세지만 유럽 등 선진국에 비하면 속도는 느리다.
전기차 판매는 테슬라와 현대차기아의 소형 전기차가 이끌었다. 테슬라 신형 모델Y는 올해 돌풍을 일으키고 있으며 국산 전기차 가운데는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과 기아 EV3가 인기리에 팔리고 있다.


BMW 코리아는 전기차 시승 멤버십이 운영 6개월 만에 누적 참여 고객 2,500명을 넘어섰다. BMW i5, i4, iX1, iX2 등 총 4종의 순수전기차 모델을 6박 7일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다만 전기차를 사고 싶어도 사지 못하는 경우가 다수다. 11일 현재 지자체 보조금은 90% 이상 바닥났고, 예년에는 남아돌던 국고보조금도 모두 소진됐다. 지난해 말 결정한 올해 전기차 보조금 예산이 워낙 줄어든 탓이다. 충전인프라도 부족해 불편함이 상존한다.

이에 전기차 확대를 위해서는 내년엔 보조금 총액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지역별로 천차만별인 보조금도 통일화 시켜야 한다는 의견도 상당수다.
한편 정부는 오는 2035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더 줄이겠다는 새로운 기준도 제시하고 있다. 거기다 정부는 탄소 순배출량을 2018년 대비 최소 50%에서 최대 60%까지 감축하는 방안을 내놨다. 특히 수송부문은 무공해차 보급 등을 통해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50.5~62.8%를 줄인다는 목표다.

하지만 이러한 목표 수치는 상당한 부담이 있다. 업계는 이 정도의 수치를 달성하기 위해서라면 등록 대수가 840만~980만 대가 돼야 해 업계는 목표를 550만∼650만 대(등록 비중 19.7∼23.2%)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건의한 것.
KAMA는 "제시한 목표는 산업 생태계 전환 충격을 최소화하면서도 국내 생산 전기차 중심으로 보급 목표 달성이 가능한 수준"이라며 "감축 부족분은 교통정책 개선·물류 효율화·친환경 운전문화 확산 등을 통해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눈카뉴스 윤여찬 기자 yyyyc@naver.com
[저작권자ⓒ 눈카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획] 머스크, 배터리 이어 반도체도 만드나...“월 100만장 웨이퍼”](https://nooncar.kr/news/data/2025/11/10/p1065597282430651_562_h2.jpg)
![[시승기] 현대차 아이오닉 9, "그렇지 이게 정상이지"...EV9 오해 떨쳤다](https://nooncar.kr/news/data/2025/11/10/p1065593205244753_176_h2.jpg)












